홈으로

제목

'그냥 두면 낫는다'는 오십견.. "팔이 안 올라가는데, 정말 괜찮을까?"


단순한 어깨 뻐근함으로 시작되어 팔을 위로 들기 어려워지고 옷을 입거나 머리를 감는 동작까지 불편해졌다면 오십견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오십견은 40~60대에서 흔히 나타나며, 의학적으로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부릅니다.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이란?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감싸는 얇은 막인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고, 그 조직이 딱딱해지며 유착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어깨의 움직임이 점점 제한됩니다.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느껴지며, 밤에는 통증이 심해 잠을 설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저절로 낫는다'는 오십견,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오십견을 나이 들면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여기며 별다른 치료 없이 버팁니다. 실제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레 호전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하지만 회복까지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1~2년까지 걸릴 수 있으며, 그동안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은 끊임없이 지속됩니다. 옷을 입고 벗는 간단한 동작조차 고통스러울 수 있고, 어깨가 굳어질수록 나중에는 회복도 더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참다 보면 나아진다'는 생각보다는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통증 줄이고 움직임 되찾는 비수술 치료 전략
오십견은 대부분 수술 없이도 충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굳어버린 어깨를 무리하지 않고 조심스럽게 풀어주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치료 방법이 바로 도수치료입니다.

도수치료는 단순한 스트레칭이나 마사지가 아닙니다. 전문 치료사가 어깨 관절의 유착 상태를 세심하게 확인하고, 관절 가동 범위를 천천히 넓혀가며 유연성을 되찾아 줍니다. 무리하게 당기거나 움직이지 않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선에서 점진적으로 어깨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식이라 부담이 적고 안전합니다.

이와 함께 체외충격파 치료도 효과적인 비수술 치료입니다. 충격파는 통증 부위의 염증 조직을 자극해 회복을 촉진하고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오래된 통증으로 조직이 굳은 경우, 도수치료와 병행하면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시 주사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염증 부위에 소량의 약물을 직접 투여해 통증을 빠르게 줄여주는 방식으로, 특히 야간통이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심한 통증이 있을 때 도움이 됩니다.

3주 이상 통증 지속 시 검진 필요.. 초기 치료가 회복의 핵심
어깨 통증이 3주 이상 계속되거나 밤에 통증 때문에 잠을 설칠 때, 그리고 팔이 점점 굳어가는 느낌이 든다면 더 이상 미루지 말고 병원에 가서 어깨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으로 방치하면 회복이 더뎌지고 통증이 오래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시작된 초기일수록 회복이 빠르고 치료 효과도 높습니다. 어깨 불편함이 느껴질 때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에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